[new] 2017년 2학기 심리검사및측정(測定) 출석대체시험 the gist체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05 05:36
본문
Download : 20172_출석_청소년4_심리검사및측정.pdf
④ 검사점수의 해석의 틀의 특징에 따라 규준지향검사와 준거지향검사로 나눌 수 있음
동일한 검사라 할지라도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며, 목적에 따라 다른 참조체계를 반영함
③ 개인의 점수를 구 개인이 포함된 전체 집단의 점수분포(규준)에 비추어 해석하게 됨
- 중략 -
*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+ 해설포함 *
2. 변수의 의미와 종류
순서
① 절대적 준거에 비추어 검사점수를 해석하는 검사임
⑥ 변수는 연속변수와 비연속변수로 구분할 수 있음
④ 변수는 그 속성을 수량화할 수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양적변수와 질적 변수로 구분함
4) 규준지향검사와 준거지향검사의 비교
① 검사는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 측정도구임
② 검사 점수를 해석하는 틀로 다른 사람의 점수를 고려함
④ 학생의 점수는 다른 학생들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탕으로 해석함
③ 준거지향검사는 검사점수 결과 해당 피험자가 검사내용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능력이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용함
⑦ 연구문제의 방향에 따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구분됨
③ 변수의 상대적인 말은 상수로 같은 값을 갖는 수 임
2017년 2학기 심리검사및측정(測定) 출석대체시험 the gist체크
3) 준거지향검사
1) 변수의 의미 및 구분
제2장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
제2장 검사의 측정(測定) 학적 관념
① 검사점수를 피험자가 속해 있는 규준집단에 비추어 상대적 위치나 서열로 나타내는 검사임
① 변하는 수 임
② 모든 존재하는 것은 양적으로 존재하며, 양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측정이 가능함
③ 검사는 다수의 하위요인과 하위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됨
⑤ 양적변수는 수량화가 가능하며, 질적 변수는 수량화가 불가능함
심리검사및측정,방통대심리검사및측정,방송대심리검사및측정,심리검사및측정출석시험,심리검사및측정시험,심리검사및측정요약
② 검사개발자는 검사개발 단계에서 어떤 능력 또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점을 정하기도 함
제2장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 제3장 검사개발과 검사의 양호도 *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+ 해설포함 *





1. 점수의 해석의 틀에 따른 분류: 규준지향검사와 준거지향검사
제3장 검사개발과 검사의 양호도
2) 규준지향검사
② 학문의 분야에 따라 변인이라고 불리기도 함
Download : 20172_출석_청소년4_심리검사및측정.pdf( 92 )
방송통신 > 출석수업대체시험
설명
1) 검사의 정의(定義)와 검사점수의 해석
다.